인간은 언제부터 음악을 듣기 시작했을까? 하루라도 음악을 듣지 않는 날이 있을까? 지금처럼 음악이 과도하게 소비되던 때가 있었을까? 어떤 음악을 들으면 불안해지기도 하고 또 한없이 차분하게 가라앉혀주는 음악도 있다. 머리가 좋아지는 음악, 살이 빠지게 해주는 음악, 숙면을 취하게 도와주는 음악, 태교에 음악이 좋다는 건 이미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구매욕을 자극하는 음악도 있어 매장 안에 그 음악을 틀어두면 매출이 좋아진다고도 한다. 때로는 추억의 한 장면에 음악이 함께 기억되어 음악이 기억을 불러내고 그때의 기분으로 돌아가게 한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인간이라면 음악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은 듯 보인다. 음악이 가진 힘과 영향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이다.
올리버 색스는 오래전부터 ‘음악’에 주목했다. 그 자신이 음악 애호가였던 이유도 있겠지만 신경과 의사로 일하면서 만난 수많은 환자들의 사례를 통해서 실제로 음악의 힘을 경험했기 때문이다. “음악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만큼 다양한 방식으로 끊임없이 내 주목을 끌었고, 뇌 기능의 거의 모든 측면과 삶 그 자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그는 대부분의 사람에게 음악은 엄청난 힘을 발휘한다고 말한다. 우리가 일부러 음악을 찾아나서든 찾아나서지 않든, 또는 자신을 특별히 ‘음악적’인 사람으로 생각하든 생각하지 않든 상관없다.
인간은 본성 속에 음악적 성향을 가지고 태어나며, 음악적 성향의 역사를 뒤쫓다보면 십중팔구 인간이라는 종種이 처음 나타난 바로 그 시점까지 거슬러 올라가게 될 것이라고 한다. 말하자면 인간은 언어 본능 못지않은 음악 본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런 특징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지극히 드문 예외가 있지만) 모든 인간은 음악을 인식할 수 있다. 우리는 뇌의 여러 부분을 이용해 머릿속으로 이 모든 요소를 통합해서 음악을 ‘구construct’한다. 그리고 거의 무의식적으로 이루어지는 이 구조적인 음악 인식능력에 대단히 강렬하고 심오한 정서적 반응이 덧붙여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음악을 귀로만 듣는 것이 아니다. 이는 운동 근육과 관련된 일이기도 하다. 그래서 니체는 “근육으로 음악을 듣는다”고 표현했다. 또 자기도 모르게 음악의 박자를 맞춘다. 의식적으로 그렇게 하려고 애쓰지 않아도 그렇게 된다. 음악을 들을 때는 표정과 자세에도 음악의 곡조 속에 들어 있는 ‘이야기’와 그것이 불러내는 생각과 감정이 거울처럼 반영된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놀라울 정도로 집요한 음악적인 기억력이 있어서 어렸을 때 들은 소리들이 대부분 평생 동안 뇌 속에 새겨질 수 있다.
음악이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은 결국 우리가 누구인지 이해하는 것과 같은 일이다. 실제로 음악은 우리 뇌에서 언어보다 넓은 부위를 차지한다. 요컨대 인간은 음악적인 종이다. 음악은 늘 우리 곁에 붙어 다니며 떨치기 어려운 매력적인 힘을 행사한다.《뮤지코필리아》는 바로 이런 음악의 힘에 관한 이야기다.
우리의 청각기관과 신경 체계는 아주 예민하게 음악에 맞춰져 있다. 물론 음악을 구성하는 다양한 요소들과 특징들이 뇌에 어떤 경로와 과정을 통해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뇌가 일부 손상되면 음악을 인식(또는 상상)하는 능력에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실제로 많은 형태의 실음악증失音樂症이 존재하고, 반면 음악적인 상상이 지나치다 못해 통제를 벗어나서 머릿속에 콕 박힌 곡조가 한없이 반복되는 경우도 있다. 심한 경우에는 음악적인 환청을 듣기도 한다. 또 음악 때문에 발작을 일으키는 사람도 있다.
어떤 경우에는 지적인 부분과 정서적인 부분 사이의 정상적인 관계가 끊어져서 음악은 정확히 인식하면서도 아무런 감정도 느끼지 못하고 무심한 상태를 유지하거나 반대로 귀에 들려오는 소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면서도 열렬한 감정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음악을 들으면서 색깔을 보거나 맛을 느끼거나 냄새를 맡거나 다양한 감각을 느끼는 사람(共感覺者), 올리버 색스에 의하면 이런 사람이 깜짝 놀랄 정도로 많다고 한다.
음악은 우리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신경질환 환자들에게 강력한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도 지니고 있다. 이런 환자들 가운데에는 뇌졸중이나 알츠하이머병 또는 기타 치매 증상으로 인해 대뇌피질이 광범위하게 손상된 사람, 특정한 증세(실어증, 운동실조증, 기억상실증, 전두엽 증후군)를 보이는 사람 등이 포함된다. 발달 지체, 자폐증, 파킨슨병이나 기타 운동 장애를 앓는 피질하성 증후군 환자도 포함된다.
*마흔 두 살에 번개를 맞고 갑자기 음악사랑(뮤지코필리아)을 보이며 피아니스트가 되려는 꿈을 키우는 토니 치코리아 박사
*지능지수는 60도 되지 않지만 과도한 음악성을 보이는 윌리엄스 증후군자들. 탁월한 음악 능력으로 절대음감을 가지고 있고 2,000곡이 되는 노래를 30개의 언어로 부를 수 있는 글로리아 렌호프
*교향곡이 솥과 팬을 부엌 바닥에 집어던지는 소리로 들리는 실음악증 환자 D. L. 부인
*뇌졸중을 앓은 후 선율을 알아듣지 못하게 된 탁월한 음악가 B. 교수
*치명적인 헤르페스 뇌염에 감염되어 심한 기억상실증에 걸린 남자. 기억의 범위가 불과 7초밖에 되지 않아 삶 자체는 완전히 무너져버렸지만 음악 기억만은 온전한 저명한 음악가 클라이브 웨어링
*왼쪽 측두엽에 생긴 종양으로 인해 음악을 들으면 발작을 일으키는 젊은 음악가 에릭 마르코비츠
*어렸을 때 수막염을 앓고 난 뒤로 한 번 들은 음을 절대 잊지 않고 2,000편의 오페라를 외우게 된 환자. 바흐의 칸타타 전곡도 모조리 외우며 모든 악기, 모든 성부까지 연주할 수 있는 음악 서번트Musical Savant(백지천재 또는 저능아천재) 마틴
*치매로 모든 기억을 잃었지만 자신 불렀던 노래의 바리톤 파트만은 모두 기억하는 아카펠라 가수 우디 가이스트
*뇌졸중을 앓고난 뒤로 실어증에 걸렸지만 음악 치료를 통해 노래 가사를 익히고 점차 말을 되찾기 시작한 새뮤얼 등.
올리버 색스는 이처럼 다양한 신경 질환에 적응하기 위해 분투하는 환자들의 놀라운 사연을 따뜻한 공감의 시선으로 전한다. 그는 이 책 《뮤지코필리아》에서 수많은 환자들의 사연을 통해 음악의 힘을 펼쳐 보인다.
《뮤지코필리아》는 올리버 색스 박사가 병원에서 근무하며 직접 만나고 관찰한 환자들의 사례와 “디어 애비Dear Abby” 코너에 칼럼을 쓴 뒤로 받은 편지 사연을 바탕으로 해서 씌어졌다. 그리고 아직은 밝혀야 할 것들이 많이 남아 있는 분야이긴 하지만 뇌와 음악의 상관관계를 연구한 다양하고 선구적인 자료들이 많이 소개되어 있다. 물론 뇌, 신경 기제, 신경 과학, 생리학 등의 딱딱한 이야기를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이해하기 쉽고 흥미롭게 풀어내주는 색스 박사의 글 솜씨는 이 책에서도 변함없이 발휘된다.
그는 예전부터 음악과 뇌의 관계를 밝히고 싶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하기도 쉽지 않았고 관련 서적을 구하기도 어려웠다고 한다. 그 이유는 의사들 자체가 환자들의 음악 인식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는 것과 또 하나는 추정으로만 존재하는 메커니즘을 밝힐 도구가 발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새로운 과학 기술의 발달(MRI, 기능성 MRI 등)로 우리가 음악을 듣고 상상할 때는 물론 심지어 작곡을 할 때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실제로 볼 수 있게 되면서 모든 것이 바뀌었다. 음악적 인식이나 상상과 관련해서 자주 발생하는 복잡하고 기괴한 장애들에 관해 엄청난 연구 결과와 관련 서적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색스 박사는 과학적인 방법에만 경도되어 환자를 단지 임상실험의 도구로만 전락시키는 위험에 대해 경고한다. 그는 두 가지 접근 방법 즉 최신 기술을 이용한 접근법과 개개인의 환자가 가진 사례의 풍요로움, 그들의 사연과 경험에 귀를 기울이고 상상하면서 그 속으로 함께 들어가는 방법을 접목하는 길을 택했다. 올리버 색스는 이것이《뮤지코필리아》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고 밝힌다.
* 올리버 색스의 홈페이지 주소 www.oliversacks.com
http://www.amazon.com/Musicophilia-Tales-Music-Oliver-Sacks/dp/1400040817/ref=pd_bbs_sr_1?ie=UTF8&s=books&qid=1213927407&sr=1-1로 가면 《뮤지코필리아》에 대한 올리버 색스의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출처] <책>뮤지코필리아 [빌려옴] (한국창직역량개발원) |작성자 일석 |
no. | 제목 | 작성자 | 조회수 | 작성일 | |
---|---|---|---|---|---|
공지 | 부원장 | 58337 | 2024년 6월 24일 | ||
공지 | 원장 | 58552 | 2024년 6월 21일 | ||
공지 | 원장 | 59482 | 2024년 6월 16일 | ||
공지 | 원장 | 59235 | 2024년 6월 13일 | ||
공지 | 원장 | 85452 | 2024년 3월 19일 | ||
공지 | 원장 | 87633 | 2024년 3월 11일 | ||
공지 | 교육팀 | 94253 | 2024년 2월 20일 | ||
공지 | 부원장 | 99799 | 2024년 2월 13일 | ||
공지 | 원장 | 110121 | 2024년 1월 8일 | ||
공지 | 원장 | 141572 | 2023년 9월 6일 |